본문 바로가기

수혜주&테마주

판문점선언, 북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관련주

반응형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의 변화가 일 것으로 보이며, 남북 협력의 핵심 사안 중 하나인 에너지 특히, 전력 분야의 협력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전력은 현재 북한이 가장 필요로 하는 분야다. 남북한 ‘에너지’가 그 어느 때보다 강하게 흐르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물꼬를 텄다. 이 물길을 따라 다양한 지류가 만들어질 것이다. 


경제, 사회, 문화, 군사, 에너지 등 남북 협력의 길이 열리고 있다. 정부도 바빠졌다.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된 ‘판문점 선언’의 후속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조만간 있을 북미정상회담도 전 세계인의 관심사항이다.


<NASA의 인공위성 사진 속 평양의 모습>


전문가에 따르면, 북한에 연간 3.87kWh의 전력만 공급해도 북한 경제성장률이 1% 가량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국내 연간 발전량의 약 1%도 안 되는 전력만 공급해도 북한 경제에 숨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이야기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량 증가 및 송전망 연계가 필수적이고 이는 미래 통일비용 절약을 위해서도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는 내용이다.


통일부 북한정보포털에 따르면, 2015년 기준 북한의 발전설비용량은 743만kW로 한국의 9,765만kW에 비해 7.6%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2015년 기준 북한의 총발전량은 수력 100억kWh(52.6%), 화력 90억kWh로 한국의 총발전량 5,281억kWh의 3.6%에 불과하다.


특히, 북한 전력설비는 노후화 된 상황이고, 최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통해 전력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남북화해와 통일 한국을 대비해 북한에 태양광 보급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화두를 던지며, “정치·경제적으로 풀기 어려운 문제를 민생용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북한의 전력 사정은 취약하지만 큰 발전소를 짓는다 해도 송전시설 등의 문제로 광범위한 보급이 어렵다”며, “태양광은 분산형 전력공급이 가능해 이런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판문점선언, 북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관련주



남북의 전력협력은 남북한의 정치적 긴장관계의 완화뿐만 아니라 남한 에너지 관련 업계의 성장과 북한의 전체적인 경제 성장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사안이다. 더불어, 국가 간 전력 교류를 위해 구축하는 대륙 규모 광역 전력망인 슈퍼그리드가 러시아와 중국, 몽골, 한국, 일본을 아우를 가능성도 있어 향후 남북 교류가 시장에 큰 바람을 일으킬 전망이다.



| 원자력 에너지 관련주

한전기술, 한전KPS, 우진, 우리기술, 에너토크, 보성파워텍, 에스앤더블류


| 풍력 에너지 관련주

태웅, 유니슨, 동국S&C, 씨에스윈드, 동국산업, 일경산업개발, 두산중공업, 효성, 케이피에프, DMS, 한일단조


| 태양광 에너지 관련주

한화케미칼, 신성이엔지, OCI, 웅진에너지, 에스에너지, LG전자, 대주전자재료, 오성첨단소재, SDN, 다원시스, 에스에프에이, 뉴인텍, 티씨케, 

KC그린홀딩스, KC코트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