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혜주&테마주

남북정상회담, 환경협력 관련주(농업,상하수처리,산림)

반응형

문재인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사이의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국내 환경산업계도 향후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남북 경제협력이 속도를 낼 경우 환경 관련 기업이 북한에 진출할 것이라는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환경부와 환경분야 전문가들은 남북 경제협력이 이뤄질 경우 북한에 우선적으로 진출할 분아로 상하수도와 하수처리시설, 폐기물 소각장 등 기초생활인프라를 27일 꼽았다.


북한은 한국에 비해 상하수 처리시설이 미흡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림도 땔감 등으로 활용돼 황폐화가 심각한 상태로 전해진다. 경제협력이 현실화되면 상하수도와 하수처리 등 물관련 인프라와 산림복원 등에 국내 기업이 협력자로 나설 가능성이 높다.


| 남북정상회담, 환경협력 관련주



환경부 관계자는 "2007년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남북정상회담을 했을 때 환경부에서도 내부적으로 경협 준비를 했었다"면서 "상하수도 관련 인프라, 산림복원, 생물종 조사 등을 준비했다"고 말했다. 환경부 관계자는 "폐기물은 운반비용이 중요한데, 북한은 중국보다 더 가까우니 우리 입장에서는 상당히 좋은 선택지"라면서 "북한에 열병합발전소 등을 건설하고 자원재활용을 한다면 북한의 에너지 문제도 해결할 수 있어 윈-윈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상하수 처리 관련주

도화엔지니어링, 한국종합기술, 유신, 웰크론한텍,시노텍스, 뉴보텍, 자연과환경, 젠트로, 한국주철관, 동양철관, 비츠로시스, 삼성엔지니어링, AJS, 이엔쓰리, 삼천리, 뉴로스, 영진인프라


| 농업 및 생산성 향상 관련주



UN은 지난해 북한을 외부 지원이 필요한 37개 식량부족 국가로 재지정했다. 북한 식량부족의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생산성이다. 농자재가 부족하고, 수리시설 등 농업 생산기반이 심하게 노후화됐다. 북한의 식량작물 생산성은 우리나라의 50~85% 수준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향후 농업분야 협력사업은 비료·종자·농기계 등과 같은 농자재 지원에서부터 수리시설 개보수나 경지정리사업 등까지 다양하게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도 올해 신년사에서 “우량 종자와 다수확 농법, 능률적인 농기계들을 대대적으로 받아들이고 농사를 과학기술적으로 지어 알곡 생산목표를 반드시 점령하며, 축산물과 과일, 온실 남새(채소)와 버섯 생산을 늘려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외교·안보 분야에 대한 논의에 집중했다. 하지만 향후 북·미 정상회담 등을 통해 북한에 대한 유엔(UN) 제재가 완화 또는 해제된다면 경제분야, 특히 농업협력이 활발하게 이뤄질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농업협력은 식량·비료 지원과 함께 북한 내 농업생산성 향상을 위한 수리시설 개보수, 농기계·재배기술 지원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농업 관련주

효성오앤비, 경농, 조비, 남해화학, 카프로, 농우바이오, 동방아그로, 성보화학, KG케미칼, 롯데정밀화학, KPX생명과학, 한탑, 우성사료, 한일사료, 고려산업, 팜스코, 대주산업, 케이씨피드, 팜스토리, 사조동아원, 이지바이오, 선진, CJ제일제당, CJ, 대상


| 북한 산림 복구


산림조합중앙회에 따르면 북한은 세계에서 세번째로 산림 황폐화가 심각한 국가로 분류될 정도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도 북한 전체 면적의 4분의 1에 달하는 320만㏊의 산림이 고난의 행군 이후 사라졌다고 밝혔다. 1990년대 820만㏊에 이르던 산림이 최근 500만㏊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북한은 산림 복구사업을 남북 협력사업 중 하나로 희망하고 있다. 산림청은 앞으로 대북 지원용 종자저장시설 조성, 남북 산림협력 국제회의 개최, 북한 산림정보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의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 산림 관련주

한솔홈데코, 후성, 자연과환경


반응형